증가율 감소율 계산 방법(퍼센트계산기)
안녕하세요. 어쩌다아저씨 입니다.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이건 몇프로 남지? 이번 계약은 단가를 몇프로 인상해야할까? 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럴때마다 계산하는게 여간 헷갈리는게 아닙니다. 그래서 준비 했습니다. 증가율 및 감소율을 구하는 산식을 ㅎ 여러분들도 이번기회에 숙지하셔서 많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ㅎ(다 아실거라 생각 하지만 저 처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ㅎ)
증가율과 감소율이란?
증가율과 감소율은 어떤 값이 변할 때, 그 변화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연봉 상승률, 매출 증가율, 물가 상승률, 인구 감소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죠. 쉽게 말해, "얼마나 늘었는지, 얼마나 줄었는지"를 퍼센트(%)로 표현하는 방법이에요.
증가율 구하는 공식
증가율은 기준이 되는 값(과거)과 새로운 값(현재) 사이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공식: 현재값-과거값/과거값X100
증가율 예제
예를 들어, 작년 매출이 1,000만 원이었고 올해 매출이 1,200만 원이라면 증가율을 계산해볼까요?
증가율 : 1,200만-1,000만/1,000만*100=20%
즉, 매출이 20% 증가했다는 의미입니다.
감소율 구하는 공식
감소율은 증가율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하지만 값이 줄어드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공식:과거-현재/과거X100
감소율 예제
작년 직원 수가 500명이었는데 올해 450명으로 줄었다면 감소율은?
감소율 : 500-450/500*100=10%
즉, 직원 수가 10% 감소했다는 의미입니다.
증가율과 감소율 활용 사례
이제 증가율과 감소율이 어떻게 쓰이는지 몇 가지 예를 들어볼게요.
- 경제 분야: GDP 성장률, 소비자 물가 상승률
- 비즈니스: 매출 증가율, 고객 수 감소율, 연봉 상승률
- 건강: 체중 증가율, 혈압 감소율
- 환경: 대기오염 증가율, 숲 면적 감소율
증가율과 감소율 계산 시 주의할 점
- 기준 값을 정확히 확인하기: 기준이 다르면 계산 결과도 달라집니다.
- 단위를 맞추기: 예를 들어, 월별 증가율과 연간 증가율은 차이가 있어요.
- 절대값이 아니라 상대값 비교: 1,000에서 1,100이 되는 것과 10,000에서 11,000이 되는 것은 같은 100 증가지만 증가율은 다릅니다.
간편하게 증가율과 감소율 계산하는 방법
엑셀을 이용하면 증가율과 감소율을 쉽게 구할 수 있어요.
- 엑셀 수식 활용하기
- 증가율: =(B2-A2)/A2*100
- 감소율: =(A2-B2)/A2*100
- 온라인 계산기 활용하기
- "증가율 계산기", "감소율 계산기" 검색 후 간편하게 계산 가능
증가율과 감소율은 회사나 경제 등의 분야에서 숫자에 대한 분석을 할때 때 꼭 필요한 개념이에요.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 매출 분석, 투자 수익률 계산, 건강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해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벚꽃 개화 피는 시기 총정리 (2) | 2025.03.04 |
---|---|
2025년 탄소중립포인트 참여 방법과 인센티브(홈페이지) (2) | 2025.02.28 |
연차 발생 기준, 연차 계산 방법 알아보기(연차 계산기) (0) | 2025.02.25 |
직장인이 퇴근 후 알바하면 회사에서 알 수 있을까? (1) | 2025.02.23 |
사업자등록번호 조회 방법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확인하는 법 (0) | 2025.02.22 |
댓글